양치를 아무리 해도 입 냄새가 사라지지 않아 고민이신가요? 혀 백태를 없애려다가 오히려 구강 건강을 해치는 잘못된 혀 클리너 사용법과 구강 건조증 치료 비용까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!
🏣 혀 클리너 잘못된 사용법 2가지
저희 남편도 혀 클리너를 매일 쓰는데도 구취가 해결이 안 돼서 답답해했거든요. 알고 보니 많은 사람들이 혀 클리너를 잘못 사용하고 계시더라고요. 다음 2가지 방법으로 하지 않았는지 다시 확인해 보세요!
✔️ 너무 강하게 여러 번 긁는다
혀 클리너를 마치 칫솔질하듯이 벅벅 긁거나 깨끗해질 때까지 수십 번 반복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혀 표면에 예민한 세포들이 손상되어 오히려 백태와 구취를 악화시킨다고해요. 가볍고 빠르게 1~2회만 사용하세요.
✔️ 혀의 가장 깊은 곳을 놓친다
혀의 가장 지독한 냄새는 혀의 가장 깊은 안쪽에 있어요. 혀의 앞쪽만 살살 긁는다면 구취의 근원지를 그대로 남겨두는 꼴입니다. 최대한 깊이 넣고 가볍고 빠르게 1~2회만 긁어내는 것이 좋아요.
입 냄새에 도움이 되는 글을 확인해보세요
🏣 혹시? 구강건조증 의심하기
혀 백태가 심하면 구강 건조증도 함께 심해지게 됩니다. 내가 구강건조증이라는 생각은 못하고 양치만 계속하지만 양치만으로는 입 냄새가 나아지지 않습니다.
✔️ 백태가 침을 방해해 구취 발생
두껍게 쌓인 혀 백태는 혀 표면 전체를 덮어버립니다. 혀 백태가 심하면 침의 능력이 떨어져서 입 냄새가 더 나게 됩니다
✔️ 구강 건조증으로 백태 심해짐
건조해진 환경에서는 세균을 뭉치고 많이 생기게 합니다. 구강 건조증은 혀 백태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혀 클리너를 써도 백태가 잘 벗겨지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.
🏣 구강 건조증, 병원 진료 얼마일까요?
혀 클리너나 물 마시기로 해결이 안 된다면 병원 진료도 고려하여 치료받는 것이 입 냄새를 없앨 수 있는 방법입니다. 구강 건조증은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고 비용도 달라져요.
✔️ 병원 진단 및 구강 약물 치료(저렴)
가까운 치과나 이비인후과에 가면 구강 건조증 검사를 받을 수 있어요. 대부분의 초기 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돼서 1회 진료 비용으로 1만 원~3만 원 내외로 저렴한 편입니다. (다만, 병원에 따라 다르고 처방에 따라 약 값도 달라져요)
✔️ 침샘 보톡스 및 전문 치료 (비쌈)
침샘 비대증이나 만성적인 염증의 경우 직접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. 특히 침샘 보톡스 시술은 비급여 항목으로 1회당 10만 원에서 30만 원 이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때는 실비 보험 적용 여부를 꼭 확인해 보고 치료를 진행해 보세요.
오늘은 혀크리너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구강 건조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혀 백태와 구강 건조증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침샘과 위장의 건강 신호입니다. 혀 클리너 사용법을 올바르게 교정하고 지긋지긋한 입 냄새에서 벗어나보세요!